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서울시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간이 이동노동자 쉼터 입지선정
  • 등록일자 2022.05.20
    조회수 13931
  • 추진 배경

    ○ 이동노동 산업 및 종사자 수의 지속적인 증가세

    • 배달시장 규모 2017년~2020년 600% 증가
    • 배달대행 건수 2019년~2020년 134% 증가
    • 배달업 종사자 2018년~2021년 35.1% 증가해 42만 3000명
    • 배달업 종사자가 우리나라 직업군 수에서 2021년 기준 16위
      * 컴퓨터 및 소프트웨어 전문가, 학교 교사를 넘어섬.

    ○ 이동노동자의 업무환경 개선 필요

    • 이동노동자의 수 및 업무량이 증가한 반면, 휴게 공간 부재
    • 높은 강도로 지속적인 이동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이동노동자의 건강권 및 산업 안전이 위협받고 있음
    • 심야, 혹한 등 노동의 고충을 해결, 열악한 노동환경 개선을 위해 적절한 위치의 쉼터 조성

    ○ 이동노동자를 위한 시스템의 非체계적인 현황

    • 서울시 8개 이동노동자 쉼터의 월평균 이용자수는 427명에 그침
      * 서울 이동노동자 서초쉼터, 서울 이동노동자 북창쉼터, 서울 이동노동자 합정쉼터, 서울 셔틀버스노동자쉼터, 미디어노동자쉼터, 강서休쉼터, 강동구 쉼터, 도봉구 쉼터
    • 이동노동자 쉼터는 이동노동자 수의 약 1000분의 1정도에 그쳐 절대적인 개수가 부족
    • 기존 이동노동자 쉼터는 건물 상층에 위치하거나 이동노동자의 주활동지역과 벗어나 접근성이 낮음
    • 각 구별 쉼터의 입지선정 기준이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아, 정성적인 평가(설문조사 등)에 기반하는 한계가 존재하여 입지의 신뢰성 부족
    • 이동노동자 쉼터의 입지 선정방식에 개선 필요

    ○ 투입 데이터

    • 서울시 블록단위 지역경계도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 서울시 행정동 단위 월별 KT 유동인구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 서울시 행정동 단위 거주인구 데이터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 서울시 CJ대한통운 택배 유형별 월 데이터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 서울시 버스정류장 공간데이터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 수도권 지하철역 공간데이터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 서울시 주요시설과 집객시설 위치 정보 -서울시 빅데이터캠퍼스
    • 행정자치부 행정동 코드 및 법정동 코드 연계표 -행정안전부
    • 서울특별시 일반음식점 인허가 정보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
    • 서울시 공영주차장 안내 정보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

    분석과정 및 방법

    ○ 계층별 데이터 수집 및 가공

    • 업무형태의 차이로 이동수단, 활동지역이 달라지는 특성을 고려해 택배/방문/배달/퀵 총 4개의 계층으로 분류
      * 택배(유동인구, 거주인구, 공영주차장, 택배 운행량)
      * 방문(유동인구, 거주인구, 버스 정류장, 지하철 정류장)
      * 배달(유동인구, 거주인구, 공영주차장, 음식점)
      * 퀵(유동인구, 거주인구, 공영주차장, 집객시설)
    • 각 계층별 활동 특성을 고려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특이 변수 부여
      * 택배(택배량), 방문(버스정류장/지하철역), 배달(음식점), 퀵(집객시설)

    ○ 계층별 군집분석

    • K-means, K-medoids, Gaussian mixture, Hierarchical K-means 기법을 사용해 계층별 특이변수의 접근성이 두드러지는 최우선 Target 선정
    • 2개 이상의 클러스터가 겹치는 36개 행정동을 도출
    • 36개 행정동의 특이변수를 내림차순으로 RANK를 부여한 뒤, 서울시 이동노동자 종사자 수 비율을 기준으로 각 특이변수에 가중를 곱한 후, 행정동별 평균 RANK를 구함
    • 상위 10개의 우선 행정동 도출

    ○ 최적 입지 블록 선정

    • 행정동 단위에서 블록 단위로 세부화
    • MCLP 입지선정 알고리즘 분석을 실시하여, 행정동 가장 접근성이 높은 최적 입지 블록 선정
    • P-median 기법을 통해 주차장에 3배의 가중치 부여한 입지 블록 선정, Set-covering 기법을 사용해 반경 50m 내 건물 수를 반영하는 수요 최대화 입지 블록 선정
    • 두 가지 기법을 모두 만족하는 블록을 1순위, 한 가지 기법을 만족하는 블록을 2순위로 선정
      * 블록별 컨테이너 박스가 설치가 불가한 특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차 순위 블록 제안

    최종결과,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최종결과

    • 군집분석 결과 상위 10개의 행정동 파악
    • 입지선정 알고리즘 분석 결과 우선 행정동 내 최적 입지 블록 선정
    • 1.영등포구 여의도동
    • 2.강남구 역삼1동
    • 3.중랑구 면목본동
      * 여의도동 S-2 X: 126.9304 Y: 37.52133
      * 역삼1동 E-37 X: 127.0355 Y: 37.50126
      * 역삼1동 W-12 X: 127.0299 Y: 37.49663
      * 면목본동 W-45 X: 127.087 Y: 37.58944

    ○ 기대효과

    • 1) 접근성 향상
      - 이동노동자의 실제 활동지역과 수요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입지선정방식 제시 각 자치구의 1개 이상의 행정동에 간이 쉼터 설립
      - 4계층 이동노동자의 각 활동지역 및 업무활동을 고려하여 쉼터를 주차하기 쉬운 공공주차장이나 공터에 위치시켜, 보다 많은 이동노동자로 하여금 편리하게 이용되도록 함
    • 2) 복지 향상: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높은 강도로 일하는 이동 노동자에게 휴게공간을 제공해 건강권 및 휴식권을 보장하고, 졸음운전 및 과로 등으로 인한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음
    • 3) 정책적 효용 : ‘서울시 2차 노동정책 기본계획’ 을 참고하여 서울시의 입장에서 고민했으며, 서울시 이동노동자 근로조건 개선 및 건강한 노동환경 조성이라는 목표 달성에 활용될 수 있음

    분석툴, 참고문헌

    ○ 분석툴

    ○ 참고문헌

    • [1] 경기도 이동노동자 쉼터 설치_운영 메뉴얼, 경기도 노동국 노동권익과, 2020
    • [2] 이동노동 종사자 지원방안 연구, 서울노동권익센터, 2015
    • [3]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생 돌봄시설의 최적입지 선정, 지적과 국토정보, 2019
    • [4] 무인택배함의 최적입지 선정을 위한 방법론 개발, 이향숙, 진무위, 추상호, 2017
    • [5] 공간 접근성을 고려한 사전투표소 최적 입지 모델링. 대한지리학회지, 송하진, 이건학 2017
    • [6] 휴리스틱 P-Median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전거주차장 최적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013
    • [7] The maximal covering location problem. In Papers of the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Church, R., & ReVelle, C.,1974,
    • [8] 2021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 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 KOSIS , 2021.10
    • [9] 제2차 서울시 노동정책 기본계획, 노동민생정책관, 2020.12
    • [10] 플랫폼·배달노동자 안전보건 실태조사 결과 토론회, 재단법인 공공상대연대기금, 2021.06
    • [11] 택배노동자 과로사 실태조사, 택배노동자 과로사대책위원회, 2020.09
    • [12] '작년 서울 택배량 27%증가... 식품 46%증가, 육아 19%감소', 서울시, 연합뉴스, 2021.06
    • [13] '[폭염노동 실태] 선풍기도 없이 탈진하는 배달, 택배노동자들', 매일노동뉴스, 2021.07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4유형 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이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