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빅데이터 캠퍼스 협치모델

시민의일상 ->(데이터확보)빅데이터플랫폼->(연계)빅데이터캠퍼스->(연계)정책/서비스->(분석/활용)

지향점
서울의 문제를 공공과 민간에서 보유한 빅데이터의 융합‧분석으로 시민과 함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이터 기반의 사회혁신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핵심 요소
1)시민의 일상 데이터를 확보하여 서울시 빅데이터 플랫폼이 보유한 공공, 민간영역의 빅데이터와 통합합니다.
2)통합한 빅데이터를 누구나 접근, 분석할 수 있는 빅데이터 캠퍼스로 연계하여 제공합니다.
3)시민사회와 서울시가 캠퍼스를 통해 협력하여 정책제안, 사회문제 해결방향을 제안합니다.
4)데이터를 이용한 도시문제를 해결하여 시민의 일상으로 환원하는 사회혁신의 선순환 구조를 만듭니다. 

민관산학 파트너십 협치 모델

캠퍼스 이용자의 활발할 분석활동 지원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분석도구(HW 및 SW), 분석지원 전문인력의 재능 등의 빅데이터 자원을 공유하여 사회혁신에 공헌하고자 하는 학계,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자발적 기부를 통해 캠퍼스를 활성화하는 모델입니다.

캠퍼스 이용자의 활발할 분석활동 지원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분석도구(HW 및 SW), 분석지원 전문인력의 재능 등의 빅데이터 자원을 공유하여 사회혁신에 공헌하고자 하는 학계,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자발적 기부를 통해 캠퍼스를 활성화하는 모델입니다.

○ 분석자원 및 솔루션 협력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자원 및 솔루션 공유·지원 (H/W, S/W, 솔루션 등) 합니다.

 ○ 빅데이터 분석 협력 
  - 서울시민에게 도움이 되는 분석과제를 선정하여 공동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 분석과제는 협력기관이나 공모전 등에서 선정합니다.
  - 분석 인력은 협력기관 또는 외부 분석전문가와 공동 진행합니다.

데이터 & 데이터 분석 협치 모델

데이터 협력-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캠퍼스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제공합니다.- 제공에 따른 비용은 무상, 또는 최소 비용으로 유상 제공합니다.- 제공한 데이터는 빅데이터 캠퍼스 내에서 만 활용합니다.※ 데이터의 반출/유출/제공 등은 안되도록 시스템으로 원천 차단하여 관리합니다.

○ 데이터 협력
  -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를 캠퍼스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제공합니다.
  - 제공에 따른 비용은 무상, 또는 최소 비용으로 유상 제공합니다.
  - 제공한 데이터는 빅데이터 캠퍼스 내에서 만 활용합니다.
  ※ 데이터의 반출/유출/제공 등은 안되도록 시스템으로 원천 차단하여 관리합니다.

아카데미 협치 모델

강의 협력 - 대학교나 기업에서 실제 빅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강의, 실습을 무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시민단체나 개인을 위한 빅데이터 강좌를 개설합니다. - 사회문제, 빅데이터 기술 전반에 대한 온라인 오픈강의를 재능기부 받습니다.

 ○ 강의 협력
   - 대학교나 기업에서 실제 빅데이터 활용이 가능한 강의, 실습을 무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시민단체나 개인을 위한 빅데이터 강좌를 개설합니다.
   - 사회문제, 빅데이터 기술 전반에 대한 온라인 오픈강의를 재능기부 받습니다.

과제발굴 협력 모델

과제발굴 협력 - 자유발제 : (시민은)자유발제, (서울시는)정책과제를 수용합니다. - 정책과제 : (서울시는)정책과제 후보 제시, (시민은)정책과제 후보를 평가합니다. 빅데이터 공모전 - 서울시와 협력기관간 공모전을 공동으로 주최하거나 상호 후원합니다.

○ 과제발굴 협력
  - 시민 발제의 활성화와 공모전 연계 : 동시 병행합니다.
 1) 과제발굴
   - 자유발제 : (시민은)자유발제, (서울시는)정책과제를 수용합니다.
   - 정책과제 : (서울시는)정책과제 후보 제시, (시민은)정책과제 후보를 평가합니다.
 2) 빅데이터 공모전
  - 서울시와 협력기관간 공모전을 공동으로 주최하거나 상호 후원합니다.